네이버 개발자 컨퍼런스 'DEVIEW 2021' 키노트 발표 내용
네이버랩스 석상옥 대표, 아크버스 개념 소개하며 기업 비전 제시
현실-가상공간 상호작용 개선...“3D 아바타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와 달라”

(출처=행사 캡처)
(출처=행사 캡처)

네이버가 메타버스 시대에 맞춰 새로운 기술 비전을 제시했다. 메타버스가 아닌 '아크버스(ARCVERS)'로 현실과 가상의 데이터와 서비스가 자연스럽게 연결, 융합될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이와 같은 미션을 실현하기 위해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로봇, 디지털트윈 4개 핵심 신기술을 모두 사용한다.

네이버는 24일 자체 개발자 컨퍼런스인 'DEVIEW 2021' 키노트에서 사내 각 기술 분야 리더 8명을 통해 자사 기술력과 비전을 소개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네이버랩스 석상옥 대표는 아크버스라는 새로운 개념을 소개했다.

석상옥 대표는 "네이버랩스의 미션은 온라인 세계에 있는 네이버를 현실의 물리 세계와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것이다. 여기서 떠오르는 단어 하나가 있다면 메타버스다. 올해 들어 여러 단체에서 메타버스 협업 제안을 많이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말하는 메타버스는 3D 아바타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와는 다르다. 현실세계와 똑같은 가상세계를 창조하고 두 세계의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집중하는 것이 목표"라며 네이버랩스 비전을 설명했다.

네이버랩스 석상옥 대표(출처=행사 캡처)
네이버랩스 석상옥 대표(출처=행사 캡처)

네이버랩스가 말하는 아크버스는 AI·로봇·클라우드·디지털트원 기술을 통해 현실과 가상공간의 데이터와 서비스가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융합되는 세상을 의미한다.

AI는 인식·이해·최적화를, 로봇은 현실세계의 물리적 매개, 클라우드는 디지털 트윈 가상세계 플랫폼 역할을 담당한다.

이 기술들은 서비스 로봇, 자율주행 모빌리티, AR·VR, 스마트빌딩, 스마트시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석상옥 대표는 아크버스 실현을 위한 자사 기술 예시로 디지털 트윈 데이터 제작 솔루션 얼라이크(ALIKE)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개발한 아크(ARC) 시스템을 언급했다.

아크에 대해 석 대표는 “물리 세계와 거울 세계의 브릿지 역할을 하는 기술이다. 디지털 트윈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실 세계 속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연결하는 것이다. 네이버 제2사옥에서 첫 상용화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네이버 서비스로 일상에 들어온 AI 기술들

AI 기반 서비스 사례를 가장 많이 발표한 곳은 네이버 클로바 CIC다. 네이버 클로바 CIC는 올해 DEVIEW 키노트에서 클로바 페이스사인, 클로바 노트, 클로바 포어캐스트 3개 서비스를 실생활에 들어온 AI 서비스로 소개했다.

네이버 클로바 CIC 성낙호 책임리더는 “클로바 페이스사인은 회사에서 매일 사용하고 있다. 휴대폰과 커피를 들고도 출입게이트를 편하게 지날 수 있게 한다. 하이패스를 써서 고속도로를 쓰는 것과 같은 일상을 마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네이버 초거대 AI 모델 하이퍼클로바 활용 사례도 언급했다. 성낙호 책임리더는 “사람처럼 말하는 AI 에이전트를 만드는 데는 정말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하이퍼클로바를 활용하면 지정한 페르소나에 맞춘 대화를 수십, 수백만건을 가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클로바 챗봇 빌더에 적용해 전화 업무 수행하는 AI 콜 제작비용을 크게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 클로바 CIC 성낙호 책임리더(출처=행사 캡처)
네이버 클로바 CIC 성낙호 책임리더(출처=행사 캡처)

네이버 서치 CIC는 지난 10월 공개한 AI 기술 기반 새로운 검색 서비스 '에어서치(AiRSearch)'를 소개했다. 에어서치는 콘텐츠, 상품, 장소 추천 AI 기술과 각종 검색 기술들을 결합한 AI 검색 브랜드다.

네이버 서치 CIC 최재호 책임리더는 “글로벌 빅테트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네이버 검색은 검색 콘텐츠 DB·사용자 니즈 이해·AI기술과 인프라 3가지에 주력한다”고 강조했다.

에어서치 기술(출처=행사 캡처)
에어서치 기술(출처=행사 캡처)

네이버 웹툰은 스스로를 ‘스토리 테크 플랫폼’이라고 지칭하며 사업 비전을 설명했다. 주로 창작자를 돕는 기술에 대해 연구 개발 중이다.

AI 기반 기술로는 지난 10월 베타 서비스로 오픈한 오토드로잉이 있다. 오토드로잉은 창작자의 웹툰 채색 시간을 줄이는 AI 기반 자동 채색 서비스다.

네이버 웹툰 박찬규 글로벌 CTO는 “오토드로잉은 한국 버전으로만 출시했는데 글로벌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하루 수십만개 스케치가 채색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동 채색, 배경 생성, 얼굴 변환 등과 같은 분야에 대한 AI 기술 연구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고 전했다.

창작자들의 주요 고민 중 하나인 웹툰 불법 유통 방지를 위해서도 예측 기술을 사용한다. 현재 네이버 웹툰은 불법콘텐츠 유통 차단 시스템 툰레이더(TOON RADAR)를 운영 중이다.

박찬규 글로벌 CTO는 “예측 차단 정교함을 높이고 불펌 위험과 공격 패턴 분석을 하기 위해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툰레이더 운영 결과로 올해 다수 해외 불법사이트가 운영을 중단했다”고 전했다.

AI타임스 박성은 기자 sage@aitimes.com

[관련기사]네이버, 차기 CEO 81년생 최수연 내정...CFO도 40대 서울대 공대 출신 전직 변호사

[관련기사]EMNLP 2021 결산, "한국 언어 AI 연구, 세계 5위 달성...네이버·KAIST가 리드"

키워드 관련기사
  • 네이버, AI 기술 적용한 새로운 검색 서비스 '에어서치' 공개
  • 네이버 3분기 매출, 영업이익 최대 실적...콘텐츠 분야 성장세 최대
  • 네이버,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서 15개 논문 채택...초거대AI 연구 포함